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전체 글243

현금흐름표 - 현금및현금성자산, 외화 보통예금 [K-IFRS 제1007호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는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현금흐름을 영업활동, 투자활동 및 재무활동으로 분류하고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역사적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현금 : 보유 현금과 요구불예금 - 지폐, 주화(동전), 타인발행당좌수표, 자기앞수표, 우편환 - 당좌예금, 보통예금 현금성자산 : 유동성이 매우 높은 단기 투자자산으로서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자산 - 취득당시의 만기가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채권 등 외화 보통예금을 평가한 경우의 회계처리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외화 보통예금(USD 800)에 가입했다. 보통예금은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서 외화보통예금의 가입은 현금흐름표에 표시되지 않는다 (자산 대체). 예금 가입 당시에는 환율.. 2023. 2. 12.
현금흐름표 - 차입금(외화차입금) 외화 차입금을 평가한 경우의 회계처리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만기가 1년 이내에 도래하는 외화 단기차입금(USD 800)을 차입했다. 현금 1,000,000원의 증가는 단기차입금의 증가로 인한 것이다 (재무활동현금흐름). 차입 당시에는 환율이 1,250원이었지만 기말에는 1,267원으로 올랐다. 단기차입금의 가치가 1,000,000원에서 1,013,600원으로 상환해야 할 차입금의 가치가 상승했다. (회사 입장에서는 갚아야 할 돈이 늘어났으므로 손실임) 즉, 외화 차입금을 12월 말 기말환율로 평가하여 외화환산손실을 기표했다. 외화환산손실로 인해 당기순손실이 기록되었지만 회사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입은 없다. 따라서 현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기순이익에서 현금 유출이 없었던 외화환산손실을.. 2023. 2. 12.
현금흐름표 - 차입금(장기차입금 차입, 유동성 대체) 장기차입금을 차입한 경우와 유동성 대체한 경우의 회계처리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주주로부터 자본금을 납입받은 경우, 현금이 5,000,000원 증가했다. 만기가 2년 이내에 도래하는 장기차입금을 차입했다.현금 2,000,000원의 증가는 장기차입금의 증가로 인한 것이다 (재무활동현금흐름).1차 연도의 기말 현금은 7,000,000원이다.(이자비용은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 장기차입금의 만기가 1년 이내로 도래하여 장기차입금을 단기차입금으로 대체하였다.현금의 유출입은 없다.현금의 유출입이 없으므로 현금흐름표에 변동 없다. 단/장기차입금의 증가는 현금을 외부 금융기관으로부터 조달하므로 현금의 유입이며,단/장기차입금의 감소는 상환으로 인한 현금의 유출이다.유동성 대체로 인한 증감은 현금의 유출입이 없.. 2023. 2. 12.
현금흐름표 - 차입금(만기, 이자의 지급) 단기차입금의 만기가 도래하여 상환하고 이자를 지급한 경우의 회계처리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1차 연도의 기말 현금은 6,000,000원이다. 2023.07.01 ~ 2024.06.30 (원금 1,000,000원, 이자율 3%) 기간의단기차입금의 만기가 도래하여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였다. 실제 이자의 지급으로 유출된 현금은 30,000원이지만, 손익계산서 상 이자비용은 14,877원이다.2023년분의 이자비용(15,123원)은 1차 연도에 미지급이자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손익계산서 상 이자비용은 현금 유출이 없는 비용에서 가산하고,이자의 지급으로 실제 유출된 현금은 재무활동현금흐름에 표시한다.현금의 감소 1,030,000원은 단기차입금의 상환과 이자의 지급으로 인한 것이다 (재무활동현금흐름). 1차.. 2023. 2. 11.
현금흐름표 - 차입금(차입, 미지급이자 인식) 단기차입금을 차입하고 미지급이자를 인식한 회계처리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주주로부터 자본금을 납입받은 경우, 현금이 5,000,000원 증가했다. 만기가 1년 이내에 도래하는 단기차입금을 차입했다. 현금 1,000,000원의 증가는 단기차입금의 증가로 인한 것이다 (재무활동현금흐름). 2023년 7월 1일에 1년 만기 (이자율 3%)로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을 2023년 12월 31일에 인식한다. 미지급이자 = 원금 x 연이자율 / 365 x 예치일수(184일) 손익계산서 상 이자비용 15,123원은 비용으로 인식되지만 현금의 유출은 없다. 따라서 현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기순이익에서 현금 유출이 없었던 이자비용을 가산해 준다. 영업활동현금흐름 : 0원 2023. 2. 11.
현금흐름표 - 예금(장기예금 가입, 유동성 대체) 장기예금을 가입한 경우와 유동성 대체한 경우의 회계처리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주주로부터 자본금을 납입받은 경우, 현금이 5,000,000원 증가했다. 만기가 2년 이내에 도래하는 장기 예금에 가입했다. 현금 2,000,000원의 감소는 장기금융상품의 증가로 인한 것이다 (투자활동현금흐름). 1차 연도의 기말 현금은 3,000,000원이다. 장기 예금의 만기가 1년 이내로 도래하여 장기금융상품을 단기금융상품으로 대체하였다. 현금의 유출입은 없다. 현금의 유출입이 없으므로 현금흐름표에 변동 없다. 단/장기금융상품의 증가는 현금을 외부 금융기관에 예치하므로 현금의 유출이며, 단/장기금융상품의 감소는 해지로 인한 현금의 유입이다. 유동성 대체로 인한 증감은 현금의 유출입이 없으므로 현금흐름표에 표시되지 .. 2023. 2. 11.
현금흐름표 - 예금(만기, 이자의 수취) 단기예금이 만기 해지되어 이자를 수취한 경우의 회계처리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1차 연도의 기말 현금은 4,000,000원이다. 2023.07.01 ~ 2024.06.30 (원금 1,000,000원, 이자율 3%) 기간의단기 예금의 만기 해지로 원금과 이자를 수령하였다 (이자 과세는 고려하지 않음).현금흐름표 - 예금(이자의 수취, 원천징수) 실제 이자의 수취로 유입된 현금은 30,000원이지만, 손익계산서 상 이자수익은 14,877원이다.2023년분의 이자수익(15,123원)은 1차 연도에 미수수익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손익계산서 상 이자수익은 현금 유입이 없는 수익에서 차감하고,이자의 수취로 실제 유입된 현금은 투자활동현금흐름에 표시한다.현금의 증가 1,030,000원은 단기 예금의 해지와 .. 2023. 2. 11.
현금흐름표 - 예금(단기예금 가입, 미수수익 인식) 단기예금을 가입한 경우와 미수수익을 인식한 경우의 회계처리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주주로부터 자본금을 납입받은 경우, 현금이 5,000,000원 증가했다. 만기가 1년 이내에 도래하는 단기 예금에 가입했다. 현금 1,000,000원의 감소는 단기금융상품의 증가로 인한 것이다 (투자활동현금흐름). 2023년 7월 1일에 1년 만기 (이자율 3%)로 가입한 단기예금에 대한 이자수익을 2023년 12월 31일에 인식한다. 미수이자 = 원금 x 연이자율 / 365 x 예치일수(184일) 손익계산서 상 이자수익 15,123원은 수익으로 인식되지만 현금의 유입은 없다. 따라서 현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기순이익에서 현금 유입이 없었던 이자수익을 차감해 준다. 영업활동현금흐름 : 0원 현금흐름표 - 예금(만.. 2023. 2. 11.
현금흐름표 - 매출채권(대손상각비 인식, 제각) 매출채권의 여러 가지 회계처리 (대손상각비 인식 / 제각)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손익계산서 상 회사의 이익 20,000원에서 외상으로 판매하여 현금이 170,000원 유입되지 못했다 (현금의 감소).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50,000원 외상으로 매출하고 인식한 매출채권이 회수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대손상각비를 인식했다. 손익계산서 상 대손상각비 170,000원은 비용으로 인식되지만 대손상각비 인식으로 인한 현금의 유출입은 없다. 당기순이익 = 상품 판매로 인한 이익 - 대손상각비이지만 회사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입은 없다. 따라서 현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기순이익에서 현금 유출이 없었던 대손상각비를 가산해 준다. 영업활동현금흐름 변동 없음 채권 회수 노력에도 불구하고 회수가 불.. 2023. 2. 6.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