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더 연결/지분법19

감사보고서로 지분법평가 히스토리 파악하기(2) 감사보고서의 정보를 활용하여 지분법평가 히스토리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예시 : 투자회사 - 에스케이어드밴스드 주식회사 피투자회사 - 울산피피 주식회사 울산피피의 자본변동표를 참고하면 2020년에 울산피피는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에스케이어드밴스는 울산피피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였고, 주주현황을 참고하면 지분율에 변동이 있었다(불균등 유상증자). 에스케이어드밴스의 소유지분 변동 (2020.01.01 유상증자 가정) 지분율 증가 지분 증가분 : 50,95,484천 원 추가취득 금액 : 50,500,000천 원 차이금액인 7,516원은 투자차액으로 관리한다. 울산피피의 자본변동표를 참고하면 당기순손실로 순자산이 감소하였으므로 에스케이어드밴스드의 몫이 2,446,669천 원 (=4,893,348천 원 x.. 2023. 9. 3.
감사보고서로 지분법평가 히스토리 파악하기(1) 감사보고서의 정보를 활용하여 지분법평가 히스토리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예시 : 투자회사 - 에스케이어드밴스드 주식회사 피투자회사 - 울산피피 주식회사 에스케이어드밴스드는 울산피피의 지분을 21,749,800천 원에 신규 취득하였다. 울산피피의 설립일 자본총계를 역산해 보면 2018년 주주현황을 추정할 수 있다. 43,500,000천 원 x 49.9995% = 21,749,800천 원 울산피피의 자본변동표를 참고하면 당기순손실로 순자산이 감소하였으므로 에스케이어드밴스드의 몫이 57,181천 원 (=114,363천 원 x 108,749주/217,500주) 감소하였다. 2018년 말 공동기업투자주식 잔액 = 21,692,619천 원 (= 21,749,800천 원 - 57,171천 원) 울산피피 2.. 2023. 9. 2.
관계기업의 취득 관계기업을 취득하였을 때의 회계처리에 대해 알아보자. 2023년 4월 3일 A법인은 식별가능한 순자산의 공정가치가 (-) 200원인(2023.03.31 기준) 완전자본잠식상태에 있는 피투자기업(x법인)의 주식 25%를 100원에 취득했다. x법인은 2023년 4~12월 당기순이익 200원을 기록했다. [K-IFRS 제1028호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 문단 32] 투자자산을 취득한 시점에 투자자산의 원가와 피투자자의 식별가능한 자산과 부채의 순공정가치 중 기업의 몫에 해당하는 금액과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한다. (1)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관련된 영업권은 해당 투자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된다. 영업권의 상각은 허용되지 않는다. (2) 피투자자의 식별가능한 자산과 부채의 순공정가치 중 기업의.. 2023. 5. 29.
지분법평가 시 유효지분율 (직접지분율, 간접지분율)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이 모두 관계기업에 대해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지분법평가 회계처리에 대해 알아보자. 지배기업(A사)과 종속기업(B사)은 지분법투자주식에 대해 지분법을 적용한다고 가정하자. [일반기업회계기준 제8장 지분법 실8.6] 투자기업(A사)은 투자기업이 직접 보유하고 있는 피투자기업(C사)에 대한 지분율 뿐만 아니라 자신의 종속기업(B사) 보유하고 있는 당해 피투자기업(C사)에 대한 지분율의 단순합계로 유의적인 영향력 유무를 판단한다. 왜냐하면, 지배기업은 종속기업을 통해 종속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피투자기업의 지분율 전체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투자기업이 지분법적용투자주식에 대해 지분법을 적용하여 평가하는 경우에는 지분율의 단순합계에 해당하는 지분변동액을 직접 .. 2023. 4. 30.
지분법 적용 중지와 관계기업의 배당 결의 관계기업에 대한 지분법 적용을 중지하였으나 관계기업이 배당을 결의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자. A법인이 200원을 투자하여 관계기업 x를 설립하였다 (200주 취득, 지분율은 40%,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음). A법인은 관계기업 x법인에 투자했으나 투자지분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여 A법인은 관계기업 x법인에 대해 지분법 적용을 중지했다. 그러나 다음연도 관계기업이 배당을 결의했다. [일반기업회계기준 제8장 지분법 실 8.31] 관계기업이 배당을 결의한 경우에는 투자기업이 받을 금액을 지분법적용투자주식에서 직접 차감하여야 하나,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장부금액이 받을 배당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액은 당기이익으로 인식한다. 지분법 적용 중지와 당기순이익 회복 관계기업에 대한 지분법 적용을 중지하는 경우와 당기.. 2023. 4. 30.
지분법 적용 중지와 지분법자본변동 (feat. 금감원 질의회신) 금융감독원 질의회신 [2005-102] 지분법 적용 시 미반영 지분변동액의 회계처리에 대해 알아보자. A법인이 200원을 투자하여 관계기업 x법인 설립하였다 (200주 취득, 지분율은 40%,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음). (질의 1) 누적 지분법회계처리 A법인의 관계기업투자주식 기초 잔액 : 50원 지분법적용투자주식 가액이 0이 될 때까지 지분법평가손실 50원만 반영하고, 미반영한 부의지분법자본변동 40원은 주석 공시 A법인의 관계기업투자주식 기말 잔액 : 0원 (부의지분법자본변동 40원 미반영) (주석 예시) 지분법 적용의 중지로 인하여 인식하지 못한 누적 미반영 지분변동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질의 2) 누적 지분법회계처리 A법인의 관계기업투자주식 기초 잔액 : 0원 (지분법손실 10원, 부의지분법자본.. 2023. 4. 16.
관계기업의 처분 관계기업을 처분하였을 때의 회계처리에 대해 알아보자. 2023년 1월 1일 A법인이 246,000원(=USD 200 @ 1,230원)을 투자하여 관계기업 x를 설립하였다 (200주 취득, 지분율은 40%,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음). 2025년 1월 1일 A법인이 200주를 260,000원에 처분하였다. 2025년 1월 1일 관계기업투자주식 장부금액은 259,200원 (취득 246,000원 + 지분법이익 25,820원 - 배당 4,840원 - 지분법자본변동 7,780원) 지분법자본변동으로 인식했던 금액을 실현시켜준다. [일반기업회계기준 제 8장 지분법 문단 31]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일부 또는 전부를 처분하는 경우 처분된 당해 지분법적용투자주식과 관련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예: 지분법자본변동)은 당해 투자주.. 2023. 4. 15.
재고자산 미실현손익의 제거 (지분법) 지분법을 적용할 때 미실현손익의 제거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일반기업회계기준 제8장 지분법 문단 20] 투자기업 및 관계기업의 거래에서 발생한 손익에 투자기업의 지분율을 곱한 금액 중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보유자산의 장부금액에 반영되어 있는 부분은 투자기업의 미실현손익으로 본다. 이 경우 미실현이익은 지분법적용투자주식에서 차감하고 미실현손실은 지분법적용투자주식에 가산한다. 2023년 1월 1일 A법인이 200원을 투자하여 관계기업 x를 설립하였다 (200주 취득, 지분율은 40%,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음). 2023년 중 관계회사 x법인은 외부로부터 상품을 900원에 매입하여 A법인에 1,000원에 현금으로 판매하였다(부가세는 고려하지 않기로 함). 그러나 A법인은 상품을 외부로 판매하지 못하고 재고자산.. 2023. 4. 15.
관계기업의 주식배당 시 지분법평가 관계회사가 주식배당한 경우의 지분법평가 회계처리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2023년 1월 1일 A법인이 200원을 투자하여 관계기업 x를 설립하였다 (200주 취득, 지분율은 40%,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음). 2023년 관계기업 x는 당기순이익 500원을 기록하였고, 10% 주식배당(액면금액 1원)을 결의하였다. 2023년 말 A법인의 관계기업투자주식 금액 : 400원 (=200원 + 200원) 2023년 말 관계회사 x법인의 순자산 x A법인 지분율 : 400원 (=1,000원 x 40%) 주식 배당의 경우 순자산금액에 변동이 없다 (자본금 증가, 이익잉여금 감소). [일반기업회계기준 제8장 지분법 문단 8.19] 관계기업이 주식을 배당하거나 자본잉여금을 결손보전에 사용한 경우에는 관계기업의 순.. 2023. 4.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