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예금이 만기 해지되어 이자를 수취한 경우의 회계처리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1차 연도 회계처리>
1차 연도의 기말 현금은 4,000,000원이다.
<2차 연도 회계처리>
2023.07.01 ~ 2024.06.30 (원금 1,000,000원, 이자율 3%) 기간의
단기 예금의 만기 해지로 원금과 이자를 수령하였다 (이자 과세는 고려하지 않음).
실제 이자의 수취로 유입된 현금은 30,000원이지만, 손익계산서 상 이자수익은 14,877원이다.
2023년분의 이자수익(15,123원)은 1차 연도에 미수수익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손익계산서 상 이자수익은 현금 유입이 없는 수익에서 차감하고,
이자의 수취로 실제 유입된 현금은 투자활동현금흐름에 표시한다.
현금의 증가 1,030,000원은 단기 예금의 해지와 이자의 수령으로 인한 것이다 (투자활동현금흐름).
<미수수익과 이자수익의 변동으로 이자의 수취액 계산>
1차 연도 손익계산서 상 이자수익 : 15,123원
이자 수취액 : 0원
2차 연도 손익계산서 상 이자수익 : 14,877원
이자 수취액 : 30,000원
실제 현금으로 유입된 이자 수취액은 미수수익의 변동액과 이자수익의 변동액으로 계산할 수 있다!
[K-IFRS 제1007호 현금흐름표 문단 31, 33]
이자와 배당금의 수취 및 지급에 따른 현금흐름은 각각 별도로 공시한다.
각 현금흐름은 매 기간 일관성 있게 영업활동, 투자활동 또는 재무활동으로 분류한다.
금융회사의 경우 이자지급, 이자수입 및 배당금수입은 일반적으로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다른 업종의 경우 이러한 현금흐름의 분류방법에 대하여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자지급, 이자수입 및 배당금수입은 당기순손익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므로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체적인 방법으로 이자지급, 이자수입 및 배당금수입은 재무자원을 획득하는 원가나 투자자산에 대한 수익이므로
각각 재무활동 현금흐름과 투자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현금흐름표 - 예금(단기예금 가입, 미수수익 인식)
단기예금을 가입한 경우와 미수수익을 인식한 경우의 회계처리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주주로부터 자본금을 납입받은 경우, 현금이 5,000,000원 증가했다. 만기가 1년 이내에 도래하는 단기
draw-entry.tistory.com
현금흐름표 - 예금(장기예금 가입, 유동성 대체)
장기예금을 가입한 경우와 유동성 대체한 경우의 회계처리를 현금흐름표에 반영해 보자! 주주로부터 자본금을 납입받은 경우, 현금이 5,000,000원 증가했다. 만기가 2년 이내에 도래하는 장기 예
draw-entry.tistory.com
현금흐름표 - 현금및현금성자산, 외화 보통예금
[K-IFRS 제1007호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는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현금흐름을 영업활동, 투자활동 및 재무활동으로 분류하고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역사적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현금 : 보
draw-entry.tistory.com
'더 현금흐름표 > 현금흐름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흐름표 - 차입금(차입, 미지급이자 인식) (0) | 2023.02.11 |
---|---|
현금흐름표 - 예금(장기예금 가입, 유동성 대체) (0) | 2023.02.11 |
현금흐름표 - 예금(단기예금 가입, 미수수익 인식) (0) | 2023.02.11 |
현금흐름표 - 매출채권(대손상각비 인식, 제각) (0) | 2023.02.06 |
현금흐름표 - 매출채권 (외화매출채권) (0)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