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더 연결84 순차연결 VS 병렬연결 (지분법) 순차연결방식과 병렬연결방식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종속기업 B는 종속기업투자주식에 대해 지분법으로 평가한다고 가정) 1. 순차연결 1) 종속기업 B는 종속기업 b를 연결한 연결재무제표 작성 2) 모회사 A법인은 종속기업 B의 연결재무제표를 연결한 연결재무제표 작성 ※ 종속기업 B는 종속기업 b를 지분법으로 평가하였음 1) 종속기업 B의 연결재무제표 → 연결재무제표에서는 종속기업의 당기순손익을 직접 합산하므로 별도재무제표에서의 지분법평가한 회계처리는 취소해야 함 2) 모회사 A법인의 연결재무제표 2. 병렬연결 모회사 A, 종속회사 B, 종속회사 b를 동시에 연결 (종속회사 B와 종속회사 b 간 투자/자본 변동 히스토리 필요) 순차연결한 경우와 병렬연결한 경우나 원가법으로 평가한 경우나 지분법으로 .. 2023. 6. 18. 순차연결 VS 병렬연결 (원가법) 순차연결방식과 병렬연결방식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종속기업투자주식에 대해 원가법으로 평가한다고 가정) 1. 순차연결 1) 종속기업 B는 종속기업 b를 연결한 연결재무제표 작성 2) 모회사 A법인은 종속기업 B의 연결재무제표를 연결한 연결재무제표 작성 1) 종속기업 B의 연결재무제표 2) 모회사 A법인의 연결재무제표 2. 병렬연결 모회사 A, 종속회사 B, 종속회사 b를 동시에 연결 (종속회사 B와 종속회사 b 간 투자/자본 변동 히스토리 필요) 순차연결한 경우와 병렬연결한 경우의 연결재무제표 금액은 일치한다! 순차연결 VS 병렬연결 순차연결 VS 병렬연결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순차연결방식과 병렬연결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지배기업이 종속기업 a의 지분을 100% 보유하고, 종속기업 a는 종속.. 2023. 6. 18. 종속기업(지분율 100%) 인수 VS 합병 종속회사(지분율 100%) 인수한 경우와 합병한 경우를 비교해 보자. 1. 종속회사(지분율 100%) 인수한 경우 - B법인이 종속회사임 종속기업(지분율 100%) 인수 시 투자자본상계(12/31) - PPA고려 종속기업(지분율 100%) 인수 시 투자자본상계(12/31) - PPA고려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해서는 투자법인의 투자 계정과 자본법인의 자본계정을 상계해주어야 하며, 이를 투자자본상계라고 한다. 종속회사(지분율 100%) 인수 시의 투자자본상계 방법에 대해 예draw-entry.tistory.com 2. B법인을 합병한 경우 1) 합병대가 지출 : 35,000원2) B법인의 자산, 부채 인수3) 공정가치 평가로 인한 증가분 반영 종속회사 B법인의 재무제표를 연결한 연결재무제표 금액과B.. 2023. 6. 18. 종속기업(지분율 80%) 인수 시 투자자본상계(12/31) - PPA고려 종속회사(지분율 80%) 인수 시의 투자자본상계 방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2023년 12월 31일 모회사 A법인이 35,000원(공정가치)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a법인을 취득하였다 (16,000주 취득, 지분율 80%). 모회사 A법인 외의 몫은 비지배지분으로 표시한다. 투자차액이란 취득대가와 피투자회사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액에 대한 투자회사 지분액과의 차액을 의미한다. 취득일에 인식한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의 금액은 공정가치로 측정했다.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자산 중 공정가치 평가로 유형자산이 증가했고, 식별할 수 있는 무형자산(고객관계)을 취득했다. 이에 따른 이연법인세부채도 인식했다. 평가차액이란 피투자회사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액과 장부가액의 차액에 대한 투자회사의 지분액을 의.. 2023. 6. 18. 종속기업(지분율 80%) 인수 시 투자자본상계(12/31) - PPA고려X 종속회사(지분율 80%) 인수 시의 투자자본상계 방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2023년 12월 31일 모회사 A법인이 35,000원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a법인을 인수하였다(16,000주 취득, 지분율 80%). 모회사 A법인 외의 몫은 비지배지분으로 표시한다. 투자차액이란 취득대가와 피투자회사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액에 대한 투자회사 지분액과의 차액을 의미한다. PPA평가 결과, 종속회사의 사업결합시점 순자산이 공정가치로 평가했을 때와 일치한다면 투자차액 전액은 영업권으로 인식한다. 연결재무제표에서 모회사 A법인과 종속회사 a법인은 하나의 연결실체이다. 연결재무제표 상에서 자본금은 모회사 A법인의 자본금과 일치하고, 종속기업투자주식 잔액은 0이 된다. 종속기업을 설립했을 때는 자본금과 종속기업.. 2023. 6. 18. 종속기업 손상차손 인식 시 연결조정 종속기업 투자주식에 대해 손상차손을 인식한 경우의 연결조정 방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손상차손 : 자산 또는 현금창출단위의 장부금액이 회수가능액을 초과하는 금액 2023년 12월 31일 모회사 A법인이 35,000원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a법인을 취득하였다(20,000주 취득, 지분율 100%).2023년 12월 31일 종속회사 a법인의 순자산 : 21,000원투자차액 : 14,000원 (추가로 식별할 수 있는 자산 없다고 가정) 2024년 12월 31일 종속회사투자주식에 대한 회수가능액이 15,000원으로 측정되어별도재무제표 상 종속기업투자주식 손상차손을 인식했다. [K-IFRS 제1036호 자산손상 문단 59~60]자산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이 못 미치는 경우에 자산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 2023. 5. 29. 관계기업의 취득 관계기업을 취득하였을 때의 회계처리에 대해 알아보자. 2023년 4월 3일 A법인은 식별가능한 순자산의 공정가치가 (-) 200원인(2023.03.31 기준) 완전자본잠식상태에 있는 피투자기업(x법인)의 주식 25%를 100원에 취득했다. x법인은 2023년 4~12월 당기순이익 200원을 기록했다. [K-IFRS 제1028호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 문단 32] 투자자산을 취득한 시점에 투자자산의 원가와 피투자자의 식별가능한 자산과 부채의 순공정가치 중 기업의 몫에 해당하는 금액과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한다. (1)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관련된 영업권은 해당 투자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된다. 영업권의 상각은 허용되지 않는다. (2) 피투자자의 식별가능한 자산과 부채의 순공정가치 중 기업의.. 2023. 5. 29. 종속기업과 관계기업 분류의 손익계산서 영향(2) 종속기업과 관계기업 분류의 손익계산서 영향에 대해 알아보자. (예시 : 삼성전자 2022년 연결감사보고서) 9.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사. 기타사항 증권선물위원회는 연결회사의 관계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가 Biogen Therapeutics Inc. 와 합작 투자한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에 대한 회계처리와 관련하여, 합작계약 약정사항의 재무제표 주석 미기재를 이유로 담당임원 해임권고, 검찰 고발, 감사인 지정 등의 조치(이하 "1차 처분")를 2018년 7월 12일에 의결하였으며, 연결대상 범위 회계처리 오류 등 회계기준 위반을 이유로 과징금 80억원 부과, 대표이사 해임권고, 재무제표 재작성, 검찰 고발 등의 조치(이하 "2차 처분")를 2018년 11월 14일에 의결하였습니다. 향후 행정소송의 .. 2023. 5. 29. 연결 감사보고서, 감사보고서 비교, 검증(2) 연결 감사보고서와 감사보고서를 비교하여 검증해 보자! (예시 : 삼성전자 2022년 연결감사보고서, 감사보고서) 1.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 연결 감사보고서 상 모회사와 종속기업은 하나의 연결실체이므로 종속기업투자주식은 재무제표에 표시되지 않는다. - 연결 감사보고서 상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주식에 대한 평가방법은 지분법이고, 별도 감사보고서 상 평가방법은 원가법이다. - 연결 감사보고서 상 관계/공동기업으로부터 배당금 수취 시, (차변) 현금 xxx / (대변) 관계(공동)기업투자주식 xxx 별도 감사보고서 상 종속/관계/공동기업으로부터 배당금 수취 시, (차변) 현금 xxx / (대변) 배당금수익 xxx 2. 관계(공동)기업 - 지분법평가 - 지분법손익 금액과 연결손익계산서 일치 - 지분법.. 2023. 5. 28.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