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장관리를 통해 돈을 더 모아봅시다!
<4개의 통장>
월급 통장
생활비 통장
투자 통장
비상금 통장 (파킹 통장)
일부 금액을 저축하고 월급 통장의 남은 금액을 생활비로 사용하는 것보다
통장을 쪼개 관리하는 것이 돈을 모으는데 더 효율적이다.
몇 년 안에 얼마를 모으고 싶은지 목표 저축액을 정한다.
"5년 안에 1억 모으기"
<투자 통장>
목표 저축액을 위해 매달 얼마를 저축해야 하는지 계산한다.
ex) 5년 안에 1억 원 모으기 → 1년 안에 2천만 원 모으기
→ 매달 160만 원 이상 저축하기 (투자통장+비상금통장)
(예금자보호를 위해 금융기관 별 5천만 원을 넘지 않도록 관리한다.)
※ 종잣돈이 모이기 전까지는 주식 등의 투자보다는 적금/예금으로 돈을 모으는 것이 낫다.
<월급 통장>
매달 고정적으로 지출하는 금액을 계산한다 (핸드폰 요금 등).
월급이 들어오는 날 고정지출액을 제외한 금액을
계획에 따라 생활비 통장, 투자 통장, 비상금 통장으로 이체한다.
※ 이체수수료가 면제되는 통장을 개설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비 통장 : 식비 등 매달 용돈으로 사용할 금액을 이체한다.
※ 신용카드보다 체크카드가 잔액을 확인할 수 있어 과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비상금 통장 (파킹 통장)>
경조사비 등 예측하지 못한 지출을 위해 일부 금액을 비상금 통장에 이체한다.
비상금 통장에서 사용한 금액은 다음 달에 다시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한다.
※ 일반 입출금 통장은 금리가 연 0.1%뿐이 되지 않지만
하루를 넣어도 연 2.3% 이상 금리인 입출금 통장도 존재한다.
토스뱅크 - 연 2.3%(5천만 원까지), 연 4%(5천만 원 이상)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 연 2.6%(1억 원까지)
케이뱅크 플러스 박스 - 연 3%(3억 원까지)
우리종합금융 CMA Note - 연 3.5%
등등 (2023.01.29 기준)
생활비를 계획대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다면 저축 목표액 또는 목표 기간을 수정한다.
"5년 안에 8,500만 원 모으기"
<요약>
처음부터 무리하게 목표를 세우기보다는 계획적으로 저축하고, 소비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월급 인상, 적금/예금의 이자 지급 등으로 매년 수입은 증가할 수 있다!
나의 월 저축액은 얼마인지, 고정지출액을 줄일 방법은 없는지 엑셀에 정리해 파악해 보자.
통신비 절약하기 - 알뜰폰 (선택약정에서 자유롭기)
통신비를 아껴서 돈을 더 모아봅시다! 알뜰폰이란 기존 통신사(SKT, KT, LGU+)의 통신망을 임대하여 자체 브랜드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재판매하는 서비스이다. 이통통신사의 과점으로 통신
draw-entry.tistory.com
알뜰교통카드 - 출발/도착 안누르고 마일리지 적립하기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도보나 자전거를 이용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제도이다. 교통비 절약하기 (지하철정기권, 알뜰교통카드, 지하철 버스 통합정기권) 교통비
draw-entry.tistory.com
7% 적금보다 세금우대저축을 가입해야하는 이유 (적금 VS 예금)
세금우대저축을 가입해서 돈을 더 모아봅시다! 세금우대저축은 만 19세 이상이면 가입할 수 있고, 1인당 3,000만 원까지 가입할 수 있다. 일반 적금, 예금은 이자소득세 14%, 지방소득세 1.4%로 이자
draw-entry.tistory.com
연말정산 환급 적게 받기 (feat. 원천징수세액 80% 선택)
근로소득 원천징수 세액을 줄여 돈을 더 모아봅시다! 원천징수란 소득자가 자신의 세금을 직접 납부하지 아니하고, 원천징수 대상소득을 지급하는 원천징수 의무자(국가, 법인, 개인사업자, 비
draw-entry.tistory.com
'더 모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달 할인 받기 (최대 15%) - 땡겨요 (feat. 서울페이) (0) | 2023.02.01 |
---|---|
노량진수산시장에서 20% 할인 받기 (4만원 절약) - 수산대전상품권 (0) | 2023.02.01 |
7% 적금보다 세금우대저축을 가입해야하는 이유 (적금 VS 예금) (0) | 2023.01.29 |
서울 편의점에서 할인 받는 법(7%) - 서울사랑상품권 (0) | 2023.01.26 |
교통비 절약하기 (지하철정기권, 알뜰교통카드, 지하철 버스 통합정기권) (0) | 2023.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