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속기업을 2개 이상 보유하였으나
종속기업을 처분한 경우의 연결조정 방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2021년 1월 1일
모회사 A법인이 2,700원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a법인을 설립하였다
(2,700주 취득, 지분율 90%).
<투자자본상계>

<종속회사 a법인의 순자산 변동>

2021년 1월 1일
모회사 A법인이 5,400원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b법인을 설립하였다
(5,400주 취득, 지분율 90%).
<투자자본상계>

<종속회사 b법인의 순자산 변동>

모회사 A법인은 별도재무제표 상 종속기업투자주식에 대해 원가법으로 평가한다.
<2021년 연결재무제표>

2021년 연결재무제표 상 이익잉여금 : 172,000원
종속회사 a법인의 지배지분/비지배지분 배분

모회사 A법인은 종속회사 a법인에 대해 90%의 지분을 보유하므로
종속회사 a법인의 당기순이익 100원의 10%는 연결실체의 당기순이익에서 제외한다.
(100 x 10% =10, 즉 10원은 비지배주주의 몫임)
종속회사 b법인의 지배지분/비지배지분 배분

모회사 A법인은 종속회사 b법인에 대해 90%의 지분을 보유하므로
종속회사 a법인의 당기순이익 -100원의 10%는 연결실체의 당기순이익에서 제외한다.
(-100 x 10% = -10, 즉 -10원은 비지배주주의 몫임)
<2022년 연결재무제표>

2022년 연결재무제표 상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172,000원
2022년 연결재무제표 상 이익잉여금 : 192,360원

<당기순이익 검증>
모회사 A법인 : 20,000원
종속회사 a법인 : 500원 x 90%(지분율) = 450원
종속회사 b법인 : -100원 x 90%(지분율) = -90원
합계 : 20,360원
<비지배지분 검증>
종속회사 a법인 : 취득 시 300원 + 600원(순자산 증가분) x 10%(비지배 지분율) = 360원
종속회사 b법인 : 취득 시 600원 - 200원(순자산 증가분) x 10%(비지배 지분율) = 580원
합계 : 940원
2023년 1월 1일
모회사 A법인은 종속회사 a법인의 지분 전체를
4,000원에 처분하였다.
<별도 회계처리>

<연결 회계처리>
별도재무제표에서는 종속기업투자주식을 원가법으로 평가하므로
처분 회계처리를 취소한다.

처분 전 종속기업투자주식을 지분법 적용을 가정하고
처분 회계처리를 수행한다.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지분법 적용
취득원가 : 2,700원
취득일 이후 순자산 증가분 x 지분율 : 600원 x 90%
장부금액 : 3,240원

위 두 분개에서 중복되는 항목을 제거하면 아래와 같은 분개가 나온다.
<연결조정>

별도재무제표에서의 처분손익을 제거
연결재무제표 상에서의 순자산 증가분에 대한 지배주주 몫을 고려한 처분손익 산출
<2023년 연결재무제표>

2023년 연결재무제표 상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192,360원

<당기순이익 검증>
모회사 A법인 : 15,000원
처분손익 감소 : -540원
종속회사 b법인 : 300원 x 90%(지분율) = 270원
합계 : 14,730원
<비지배지분 검증>
종속회사 b법인 : 취득 시 600원 + 100원(순자산 증가분) x 10%(비지배 지분율) = 610원
※ 연결재무제표에서 종속기업 처분 방법
1) 지분법 적용을 가정 후 처분
2) 지배력을 상실하기 전의 연결재무제표를 작성 후에 지배력 상실 회계처리
지분법적용을 가정한 후 처분하는 이유
종속기업(지분율 100%) 연결 VS 지분법
종속회사(지분율 100%)를 연결한 경우와 지분법평가하는 경우를 비교해 보자. 모회사 A법인이 3,000원을 투자하여종속회사 a법인을 설립하였다(3,000주 취득, 지분율 100%). 1. 종속회사 a법인을
draw-entry.tistory.com
'더 연결 > 연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속기업(지분율 100%)의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변동 (2) | 2025.01.19 |
---|---|
종속기업(설립) 처분 시 연결자본변동표 작성 (0) | 2024.08.19 |
종속기업(지분율 100%) 처분 시 연결조정 (0) | 2023.10.23 |
종속기업 처분 (100% 인수 법인) - PPA고려X (0) | 2023.10.09 |
종속기업 처분 (80% 설립 법인) (0) | 2023.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