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더 연결84 종속기업(지분율 100%) 인수 시 연결주석 작성 - PPA고려(12/31) 2023년 12월 31일 종속회사(지분율 100%) 인수하였고 PPA평가를 통해 연결재무제표 상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을 인식한 경우 연결주석 작성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종속회사 a법인은 12월 31일 자로 인수되어 종속회사 a법인의 1~12월의 유형자산 변동내역은 연결주석에 포함하지 않는다. 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종속회사 a법인이 보유하고 있던 유형자산 금액은 '사업결합'에 표시한다. 종속기업 a법인을 인수하면서 PPA평가를 통해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을 인식했고, 연결재무제표 상 인식된 금액 또한 '사업결합'에 표시한다. 연결주석은 모회사 주석과 종속회사 주석을 합산하고 연결조정 금액을 반영하여 작성한다. 연결주석 = 모회사 및 종속회사 주석 합산 + 연결조정 연결주석의 기말 금액과 연결재무제표의 기말 금.. 2023. 2. 16. 종속기업(지분율 100%) 인수 시(기중 취득) 재무제표 반영하는 법 종속회사(지분율 100%)를 기중에 인수한 경우 재무제표를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2023년 10월 11일 모회사 A법인이 35,000원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a법인을 설립하였다(20,000주 취득, 지분율 100%).종속회사 a법인의 10월 11일 자의 재무제표를 수취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취득일에 근접한 결산일에 취득한 것으로 보아 10월 1일을 간주취득일로 하고9월 30일의 재무제표를 사업결합 시점의 재무제표로 간주한다. 종속회사 a법인의 재무상태표 상 전기이월이익잉여금과 당기순이익 수정이 필요하다. 사업결합 시점 이전의 당기순이익은 연결손익계산서에 합산되지 않기 때문이다. 종속회사 a법인의 재무상태표 상 전기이월이익잉여금과 당기순이익 수정이 필요하다. 종속회사 a법인의 손익계산서 상.. 2023. 2. 15. 종속기업(지분율 100%) 인수 시 투자자본상계(12/31) - PPA고려 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해서는 투자법인의 투자 계정과 자본법인의 자본계정을 상계해주어야 하며,이를 투자자본상계라고 한다.종속회사(지분율 100%) 인수 시의 투자자본상계 방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2023년 12월 31일 모회사 A법인이 35,000원(공정가치)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a법인을 취득하였다 (20,000주 취득, 지분율 100%). 투자차액이란취득대가와 피투자회사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액에 대한 투자회사 지분액과의 차액을 의미한다. 취득일에 인식한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의 금액은 공정가치로 측정했다.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자산 중 공정가치 평가로 유형자산이 증가했고,식별할 수 있는 무형자산(고객 관계)을 취득했다.이에 따른 이연법인세부채도 인식했다. 평가차액이란피투자회사의 식별가능한.. 2023. 2. 15. 종속기업(지분율 100%) 인수 시 투자자본상계(12/31) - PPA고려X 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해서는 투자법인의 투자계정과 자본법인의 자본계정을 상계해주어야 하며, 이를 투자자본상계라고 한다. 종속회사(지분율 100%) 인수 시의 투자자본상계 방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2023년 12월 31일 모회사 A법인이 35,000원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a법인을 인수하였다(20,000주 취득, 지분율 100%). 투자차액이란 취득대가와 피투자회사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액에 대한 투자회사 지분액과의 차액을 의미한다. PPA평가 결과, 종속회사의 사업결합시점 순자산이 공정가치로 평가했을 때와 일치한다면 투자차액 전액은 영업권으로 인식한다. 연결재무제표에서 모회사 A법인과 종속회사 a법인은 하나의 연결실체이다. 연결재무제표 상에서 자본금은 모회사 A법인의 자본금과 일치하고, 종속.. 2023. 2. 15. PPA평가 (기업인수가격 배분, Purchase Price Allocation) 사업결합의 의미와 PPA평가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K-IFRS 제1103호 사업결합] 사업결합의 식별 : 사업결합은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가 사업을 구성해야 한다.(취득 자산이 사업이 아닐 경우에 그 거래나 그 밖의 사건을 자산의 취득으로 회계처리) 각 사업결합은 취득법을 적용하여 회계처리한다.(1) 취득자의 식별(2) 취득일의 결정 (피취득자에 대한 지배력을 획득한 날)(3) 식별할 수 있는 취득 자산, 인수 부채,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인식과 측정(4) 영업권이나 염가매수차익의 인식과 측정 측정원칙 : 취득자는 식별할 수 있는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를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한다.취득자는 피취득자의 이전 재무제표에서 자산과 부채로 인식하지 않았던 자산과 부채를 일부 인식할 수 있다. .. 2023. 2. 13. 특수관계자의 판단 (K-IFRS 제1024호) [K-IFRS 제1024호 특수관계자 공시] 기준서 상 '특수관계자'의 의미와 판단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특수관계자 :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기업(보고기업)과 특수관계가 있는 개인이나 기업 1. 개인 (가) 보고기업에 지배력 또는 공동지배력이 있는 경우 - 지배기업과 지배력이 있는 주주 (나) 보고기업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경우 (다) 보고기업 또는 그 지배기업이 주요 경영진의 일원인 경우 - 지배기업과 주요 경영진 2. 법인 (가) 기업과 보고기업이 동일한 연결실체 내의 일원인 경우 - 지배기업과 종속기업 / 지배기업의 종속기업과 연결실체 내 다른 종속기업 (나) 한 기업이 다른 기업의 관계기업이거나 공동기업인 경우 (또는 그 다른 기업이 속한 연결실체 내의 일원의 기업이거나 공동기업인 경우) - 지.. 2023. 2. 2. 순차연결 VS 병렬연결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순차연결방식과 병렬연결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지배기업이 종속기업 a의 지분을 100% 보유하고, 종속기업 a는 종속기업 b의 지분을 100% 보유한다. 지배기업이 연결재무제표 작성 의무가 존재할 때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순차연결, 병렬연결) 순차연결은 종속기업 a가 본인의 연결재무제표(종속기업 a & 종속기업 b)를 작성하여 지배기업에 제출하면 지배기업이 본인의 재무제표와 종속기업 a의 연결재무제표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병렬연결은 지배기업이 직접 본인의 재무제표와 종속기업 a, 종속기업 b의 재무제표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지배기업이 종속기업 b의 지분을 직접 보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종속기업 a의 투자내역과 종속기업 b의 자본내.. 2023. 1. 31. 관계기업의 유상증자(불균등) 시 지분법 평가 관계회사가 유상증자(불균등) 한 경우의 지분법 평가 회계처리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지분법 : 투자자산을 최초에 원가로 인식하고, 취득시점 이후 발생한 피투자자의 순자산 변동액 중 투자자의 몫을 해당 투자자산에 가감하여 보고하는 회계처리방법 2023년 1월 1일 A법인이 200원을 투자하여 관계기업 x를 설립하였다 (200주 취득, 지분율은 40%,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음). 2024년 1월 1일 관계회사 x법인은 유상증자(불균등)를 실시하였다. 지분 감소분 10원 = 지분율 감소분 20% x 유상증자 전의 관계기업 x법인의 순자산 증가액 50원 대주주 X의 유상증자 참여로 A법인의 지분율이 40%에서 20%로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관계기업투자주식을 처분한 효과가 발생했다. 2023년 관계회사 .. 2023. 1. 24. 관계기업의 유상증자(균등) 시 지분법 평가 관계회사가 유상증자(균등) 한 경우의 지분법 평가 회계처리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지분법 : 투자자산을 최초에 원가로 인식하고, 취득시점 이후 발생한 피투자자의 순자산 변동액 중 투자자의 몫을 해당 투자자산에 가감하여 보고하는 회계처리방법 2023년 1월 1일 A법인이 200원을 투자하여 관계기업 x를 설립하였다 (200주 취득, 지분율은 40%,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음). 2024년 1월 1일 관계회사 x법인은 유상증자(균등)를 실시하였다. 관계기업 x법인의 순자산 증가(500원 →1,000원)는 자본금의 증가로 인한 것이다. 2023. 1. 24.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