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PPA평가6 종속기업(지분율 80%) 인수 시 투자자본상계(12/31) - PPA고려 종속회사(지분율 80%) 인수 시의 투자자본상계 방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2023년 12월 31일 모회사 A법인이 35,000원(공정가치)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a법인을 취득하였다 (16,000주 취득, 지분율 80%). 모회사 A법인 외의 몫은 비지배지분으로 표시한다. 투자차액이란 취득대가와 피투자회사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액에 대한 투자회사 지분액과의 차액을 의미한다. 취득일에 인식한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의 금액은 공정가치로 측정했다.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자산 중 공정가치 평가로 유형자산이 증가했고, 식별할 수 있는 무형자산(고객관계)을 취득했다. 이에 따른 이연법인세부채도 인식했다. 평가차액이란 피투자회사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액과 장부가액의 차액에 대한 투자회사의 지분액을 의.. 2023. 6. 18. 종속회사 인수 시 사업결합 주석 작성하는 법 (feat. 주석, 현금흐름표) 2023년 12월 31일 종속회사(지분율 100%) 인수하였고 PPA평가를 통해 연결재무제표 상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을 인식한 경우 사업결합 주석 작성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가. 연결회사는 2023년 12월 31일 종속회사 a법인의 지분 100%를 인수하여 종속기업으로 편입되었습니다. 나. 인수에서 발생한 영업권 4,400원은 종속회사 a법인의 동종업체인 회사와의 시너지효과에 근거합니다. 다. 취득일에 인식한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의 금액은 공정가치로 측정되었으며, 종속회사 a법인에 지불한 대가와 취득일에 인식한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의 금액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1] 연결회사가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자산 중 유형자산 공정가치 평가로 인한 증가분 9,000원 및 식별가능한 무형자산인 고객관계.. 2023. 2. 19. 종속기업(지분율 100%) 인수 시 연결주석 작성 - PPA고려(12/31) 2023년 12월 31일 종속회사(지분율 100%) 인수하였고 PPA평가를 통해 연결재무제표 상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을 인식한 경우 연결주석 작성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종속회사 a법인은 12월 31일 자로 인수되어 종속회사 a법인의 1~12월의 유형자산 변동내역은 연결주석에 포함하지 않는다. 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종속회사 a법인이 보유하고 있던 유형자산 금액은 '사업결합'에 표시한다. 종속기업 a법인을 인수하면서 PPA평가를 통해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을 인식했고, 연결재무제표 상 인식된 금액 또한 '사업결합'에 표시한다. 연결주석은 모회사 주석과 종속회사 주석을 합산하고 연결조정 금액을 반영하여 작성한다. 연결주석 = 모회사 및 종속회사 주석 합산 + 연결조정 연결주석의 기말 금액과 연결재무제표의 기말 금.. 2023. 2. 16. 종속기업(지분율 100%) 인수 시 투자자본상계(12/31) - PPA고려 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해서는 투자법인의 투자 계정과 자본법인의 자본계정을 상계해주어야 하며,이를 투자자본상계라고 한다.종속회사(지분율 100%) 인수 시의 투자자본상계 방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2023년 12월 31일 모회사 A법인이 35,000원(공정가치)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a법인을 취득하였다 (20,000주 취득, 지분율 100%). 투자차액이란취득대가와 피투자회사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액에 대한 투자회사 지분액과의 차액을 의미한다. 취득일에 인식한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의 금액은 공정가치로 측정했다.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자산 중 공정가치 평가로 유형자산이 증가했고,식별할 수 있는 무형자산(고객 관계)을 취득했다.이에 따른 이연법인세부채도 인식했다. 평가차액이란피투자회사의 식별가능한.. 2023. 2. 15. 종속기업(지분율 100%) 인수 시 투자자본상계(12/31) - PPA고려X 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해서는 투자법인의 투자계정과 자본법인의 자본계정을 상계해주어야 하며, 이를 투자자본상계라고 한다. 종속회사(지분율 100%) 인수 시의 투자자본상계 방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2023년 12월 31일 모회사 A법인이 35,000원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a법인을 인수하였다(20,000주 취득, 지분율 100%). 투자차액이란 취득대가와 피투자회사의 식별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액에 대한 투자회사 지분액과의 차액을 의미한다. PPA평가 결과, 종속회사의 사업결합시점 순자산이 공정가치로 평가했을 때와 일치한다면 투자차액 전액은 영업권으로 인식한다. 연결재무제표에서 모회사 A법인과 종속회사 a법인은 하나의 연결실체이다. 연결재무제표 상에서 자본금은 모회사 A법인의 자본금과 일치하고, 종속.. 2023. 2. 15. PPA평가 (기업인수가격 배분, Purchase Price Allocation) 사업결합의 의미와 PPA평가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K-IFRS 제1103호 사업결합] 사업결합의 식별 : 사업결합은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가 사업을 구성해야 한다.(취득 자산이 사업이 아닐 경우에 그 거래나 그 밖의 사건을 자산의 취득으로 회계처리) 각 사업결합은 취득법을 적용하여 회계처리한다.(1) 취득자의 식별(2) 취득일의 결정 (피취득자에 대한 지배력을 획득한 날)(3) 식별할 수 있는 취득 자산, 인수 부채,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인식과 측정(4) 영업권이나 염가매수차익의 인식과 측정 측정원칙 : 취득자는 식별할 수 있는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를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한다.취득자는 피취득자의 이전 재무제표에서 자산과 부채로 인식하지 않았던 자산과 부채를 일부 인식할 수 있다. .. 2023. 2. 13. 이전 1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