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해서는 수익, 비용 등 연결실체 간의 거래를 상계해주어야 하며,
이를 내부거래상계라고 한다.
내부거래상계 방법에 대해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2023년 1월 1일 모회사 A법인이 3,000원을 투자하여
종속회사 a법인을 설립하였다(3,000주 취득, 지분율 100%).
<투자자본상계>
종속기업(지분율 100%) 설립 시 투자자본상계
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해서는 투자법인의 투자 계정과 자본법인의 자본계정을 상계해주어야 하며, 이를 투자자본상계라고 한다. 종속회사(지분율 100%) 설립 시의 투자자본상계 방법에 대해 예
draw-entry.tistory.com
2023년 중 모회사 A법인은 외부로부터 상품을 900원에 매입하여
종속회사 a법인에 1,000원에 외상으로 판매하였다(부가세는 고려하지 않기로 함).
그리고 종속회사 a법인은 재고자산을 모두 외부로 판매하였다.
<모회사 A법인 회계처리>
<종속회사 a법인 회계처리>
[일반기업회계기준 제4장 연결재무제표 문단 4.9]
수익, 비용 및 배당을 포함하는 연결실체 내의 거래와 잔액은 모두 제거한다.
재고자산이나 유형자산과 같이 자산에 인식되어 있는
연결실체의 내부거래에서 발생한 손익은 모두 제거한다.
<내부거래 상계 (채권, 채무)>
<내부거래 상계 (수익, 비용)>
<2023년 12월 31일 연결재무상태표>
모회사 A법인과 종속회사 a법인은 하나의 연결실체이므로 채권, 채무 잔액을 제거한다.
연결재무제표 상 채권, 채무 잔액은 연결실체가 아닌 외부 거래처와의 잔액만 남는다.
[일반기업회계기준 제4장 연결재무제표 실 4.26]
상계 제거의 대상이 되는 채권·채무에는
매출채권과 매입채무, 대여금과 차입금, 미수금과 미지급금 등 확정채권․채무는 물론
발생주의에 따른 기간손익의 계산과 관련된 미수수익과 미지급비용,
선급비용과 선수수익 등 모든 채권․채무가 포함된다.
<2023년 1 ~ 12월 손익계산서>
모회사 A법인과 종속회사 a법인의 매출총이익 합계와
연결손익계산서 상 매출총이익 금액이 같다.
당기순이익에도 변동이 없다.
그러나 모회사 A법인과 종속회사 a법인의 내부거래를 상계하지 않으면
매출액과 매출원가가 과대계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내부거래 상계하지 않으면 매출액 : 2,200원, 매출원가 : 1,900원)
'더 연결 > 연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속기업(지분율 80%) 현금배당 시 연결자본변동표 작성 (0) | 2023.04.02 |
---|---|
재고자산 미실현손익의 제거 (종속기업 지분율 100%) (0) | 2023.04.01 |
종속기업 지분 추가 취득 시 연결자본변동표 (0) | 2023.03.28 |
연결실체 간 임대차 계약의 연결재무제표 영향 (0) | 2023.03.20 |
종속기업(지분율 100%) 인수 시 공정가치 평가차액 상각 (0) | 2023.02.26 |
댓글